top of page

트럼프 코인 분석 - ② WLFI



[주요 시사점]

  • WLF는 탈중앙화를 표방하지만, 거버넌스 권한은 재단에 집중, 실질적 중앙집중형 구조

  • WLFI는 수익 실현이 불가능한 거버넌스 토큰으로, 실질적 참여 동기 부족

  • 기존 DAO와는 달리, 투표는 온체인이 아닌 웹 기반이며 결과의 실행 여부를 재단이 결정

  • 플랫폼 수익 전부가 트럼프 일가와 창립자 재단에 배분, WLFI 보유자는 수익 권한 없음

  • WLF는 정치적 영향력에 의존한 자금 유입 구조로, 장기적 지속 가능성 미흡


[결론]

  • WLF는 DeFi를 표방하지만 실제로 트럼프 일가의 자산 증식을 위한 중앙집중형 프로젝트에 가깝움

  • WLFI 코인의 실효성과 투자 안전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필요


WLFI, 플랫폼(WLF)의 거버넌스 토큰


▣ WLFI 토큰 개요 – 거래할 수 없는 이상한 토큰


  • WLFI 코인은 트럼프와 가족이 참여하는 World Liberty Financial(WLF,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트럼프가 소유한 재단이 WLF 재단에 참여하며, 토큰과 수익에 대한 권리를 갖습니다.

  • 발행한 백서에서 WLF 프로젝트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로 탈중앙화 금융 시장에서 미국 달러의 세계적 지위 강화를 목표로 제시합니다.


  • 2024년 9월 30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되었으며, 총 1천억 개가 발행되었습니다.

  • WLFI 토큰 보유자는 WLF 프로토콜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으며, [WLF 거버넌스 포럼]을 통해 프로토콜의 운영과 관련, 의견 제시 및 안건에 대해 투표할 수 있는 권리를 갖습니다.


  • WLFI 토큰은 ‘양도 불가능(Non-transferable)’한 상태로 발행되며, 무기한 잠금 상태로 제공됨을 고지하고 있습니다.

  • 일반적인 코인 및 토큰은 양도 및 거래에 대한 권리를 제한하지 않습니다. 초기 구매의 경우 유동성 공급 및 물량 관리를 위해 제한된 기간 동안 락업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WLFI와 같이 ‘무기한으로 양도가 불가능한 토큰’은 전례가 없는 사례입니다.

  • 단서 조항으로 거버넌스를 통해 해제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WLFI 코인 보유 구조 및 운영 구조는 다수의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WLF 재단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습니다.

  • 타인에게 양도 또는 거래가 불가능하기에 수익실현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트럼프와 관계를 형성하거나 지지를 표하거나, 플랫폼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 사례는 “양도 불가능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단기성 투기 목적으로 WLFI를 구매한 소액 투자자들은 자금이 동결되는 문제가 예상됩니다.


▣ 주요 거버넌스 코인 비교


  • 거버넌스 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eFi, DAO 등)의 운영 및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토큰입니다. 플랫폼의 핵심 정책에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입니다.

  • 가상자산의 탈중앙화 운영을 위해 일반적으로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 조직)를 구축하여 거버넌스를 운영합니다.

  • MakerDAO의 MRK(Maker) 코인, AaveDAO의 AAVE코인이 대표적인 DAO와 거버넌스 코인에 해당합니다.

  • 다른 주요 거버넌스 코인 및 DAO 구조와의 비교를 통해 ‘거버넌스 토큰으로서 WLFI’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거버넌스 주체

    • 거버넌스 운영의 핵심 주체는 거버넌스 코인 보유자입니다.


  • 의사결정 방식

    • MKR 코인과 AAVE 코인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 조직)에서 거버넌스 코인으로 기능합니다. DAO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및 운영, 대출 프로토콜 등 서비스의 운영에 거버넌스 코인 보유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이와는 달리 WLF는 “거버넌스 플랫폼”으로, WLFI 코인 보유자는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갖지만 최종 권한은 재단이 보유합니다.

    • 거버넌스 투표를 진행해 제안이 승인되더라도 WLFI의 의사결정의 최종 권리자가 토큰 보유자가 아닌 재단에 귀속되어 있고, 코인의 배분 구조가 재단 관계자들에게 집중되어 의사결정이 재단의 의사에 좌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탈중앙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트럼프를 위한 WLF 플랫폼의 수익 구조


  • WLF 거버넌스 플랫폼은 WLFI 토큰의 판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USD1의 운영을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 향후 WLF 거버넌스 프로토콜의 런칭을 통해 프로토콜 운영 수익, DeFi 등 서비스 수익 모델 구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WLFI 토큰 판매 수익의 60%와 WLF 플랫폼 운영 수익을 제한 순수익의 75%가 트럼프와 가족이 보유한 재단에 배당됩니다.


① 거버넌스 코인(WLFI) 판매를 통한 자금 조달

  • 플랫폼은 2 차례에 걸쳐 WLFI 코인을 판매하여 자금을 조달하였습니다.

  • 발행량의 2.5%에 해당하는 25억 개를 판매하였고, 총 5억 5천만 달러를 조달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 판매 가격을 살펴보면, 1차 대비 2차 판매에서 3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코인을 판매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판매 가격은 거래 시장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닌 재단에 의해 자의적으로 책정된 가격입니다. 가격 책정 기준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트럼프의 정치적 영향력을 기반으로 코인 판매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2차 판매는 대통령 취임식 시점에 이루어졌습니다.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대한 기대보다는 TRUMP 밈코인과 같이 트럼프라는 인물의 영향력에 기댄 판매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② USD1 준비금 운용을 통한 수익

  • WLF에 따르면, 재단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USD1의 준비금은 자산수탁회사인 BitGo Trust에 전액 예치되어 있으며, 미국 단기 국채, 달러 예치금, 현금성 자산으로 구성되어 100% 담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달러의 예치 이자 수익과 미국 단기 국채에 대한 이자 수익 등이 운영 수익으로 USD1의 운영 주체인 WLF 플랫폼이 수익의 100%를 가져갑니다.

  • 다만 준비금의 구성비를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외부감사를 받지 않은 상태라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수익금의 규모는 현시점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 WLF 플랫폼은 WLFI 토큰 판매와 USD1의 담보 준비금 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그러나 토큰 판매 수익은 ‘일시적’이며, 지속적인 수익은 USD1 운영 수익에 그칩니다. 거버넌스 플랫폼,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DeFi) 등과 같은 수익모델이 구축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 현 시점에서 WLF의 수익은 트럼프 소유 재단과 기타 창업자의 재단에 귀속되는 구조로 WLFI 토큰을 구매한 개인 투자자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아 현재로서는 토큰 보유에 대한 수익을 얻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 거버넌스 프로토콜이 런칭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검증 받지 못했습니다. 구체적인 비전과 미래 계획이 제시되지 못한 시점에서 WLF 거버넌스 플랫폼이 장기 지속이 가능한 프로젝트보다는 ‘자금 유입 기반’ 구조에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WLF 플랫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트럼프


  • 트럼프와 일가가 보유한 DT Marks DEFI LLC를 통해 WLF와 계약을 맺고, “플랫폼 및 프로토콜에 대한 상시적인 홍보”, “이름, 이미지, 초상권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와 라이선스”를 제공한다고 백서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 동일한 백서에서는 트럼프와 가족은 WLF 플랫폼에 ‘직무적 관련성’이 없음을 고지하여, 프로젝트의 운영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점을 명백히 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이해충돌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 마찬가지로 WLF 팀에 대한 소개에서 트럼프와 가족은 ‘최고 암호화폐 지지자’와 ‘Web3 홍보대사’라는 애매모호한 명칭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 그러나 최근 변경된 팀 구성 프로필에서 트럼프와 가족은 모두 ‘공동 창업자(Co-Founder)’로 직함이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백서를 통해 프로젝트와의 ‘공적’ 관련성을 적극적으로 부인하던 입장에서 ‘창업자’의 직함을 부여하며 관련성을 인정하는 태도로 바뀐 이유는 GENIUS Act의 이해충돌 규정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을 면제한 것이 핵심이라 추정됩니다.

  • ‘법적’ 리스크가 제거되었기에 적극적인 행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 다만 초기에 발행한 백서 이후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백서나 공적 내용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기존의 ‘면책사항’의 내용 변경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 WLF 플랫폼을 운영에 대한 수익 전부가 트럼프와 관계자에게 귀속되는 구조입니다. WLF 토큰 보유자는 거버넌스 참여 권한만 있을 뿐, 어떠한 수익에 대해서도 권리를 갖지 못합니다.

  • 트럼프와 일가가 소유한 DT Marks DEFI LLC는 225억 개(22.5%)의 WLFI 코인을 배분 받으며, WLFI 토큰 판매 수익의 60%와 WLF 플랫폼 운영 순수익 중 75%를 배당 받습니다.

  • 창립자 소유의 재단 Axiom Management Group(AMG)은 코인 75억 개(7.5%)를 배분 받으며, 운영 순수익 25%를 수령합니다. AMG는 WC Digital Fi LLC에 수령하는 순수익의 50%를 배당합니다.


  • WLFI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에 힘입어 가상자산 산업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USD1의 발행 및 운영사로서 USD1의 성장과 함께 WLF 플랫폼의 영향력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트럼프와 가족이 정치적 리스크로 인해 애매모호한 직책을 담당하던 것에 비해, 현재는 WLF 플랫폼에 창업자 자격으로 직접 참여하고 있어 프로젝트의 진척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다만, WLF 플랫폼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향력만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적 역량이 담보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트럼프와 가족의 영향력을 서비스의 홍보와 자금 조달 등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 수익 구조에서 명백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법적인 리스크가 해소됐지만 지속적인 윤리적 차원의 문제제기와 향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시금 문제가 되어 프로젝트 자체의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론 :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으로서 WLF의 한계


  • WLFI 코인을 통해 WLF 플랫폼과 트럼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플랫폼의 거버넌스 코인인 WLFI는 양도가 불가능한 상태로 발행되어 구매자는 양도 및 거래를 통한 수익 실현이 불가합니다.

  • 향후 거버넌스를 통해 해제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토큰 배분을 통한 거버넌스 권리가 트럼프 관계자 소수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해제 권한도 최종적으로 재단 있어 기약 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습니다.

  • WLF 거버넌스 플랫폼은 탈중앙화 금융을 표방하지만 실제 운영은 재단에 집중된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 WLF는 DAO가 아님을 명시하고 있으며, 의사결정 방식 또한 블록체인 상이 아닌 웹상에서의 투표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투표를 통과해 승인된 제안에 대한 최종 집행 권한은 재단에 귀속되어 탈중앙화 금융으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 현 시점에서는 프로토콜 및 DeFi 등의 서비스가 부재하여 WLFI 코인의 판매와 USD1의 준비금 운용 수익 외에는 수익 모델이 구축되지 않았습니다. WLF 플랫폼이 장기 지속적인 수익 구조가 아닌 ‘자금 조달용 수익 구조’에 그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이와 같은 점에도 불구하고 WLF와 WLFI 코인이 주목받는 이유는 트럼프와 가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인 배분을 통해 높은 지분을 확보하고, 판매 수익의 60%와 순수익의 75%를 배당 받기에 사업의 성공은 트럼프와 일가의 자산 증식의 성공으로 이어집니다.


  • 결론적으로 WLF 거버넌스 플랫폼은 탈중앙화 금융을 주장하지만 플랫폼의 운영 및 수익 구조가 트럼프와 일가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중앙집중화 되어 트럼프의 자산 증식에 기여하는 구조입니다.

  • 양도 불가능성으로 거래를 통한 수익 실현이 불가능한 거버넌스 코인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초이스뮤온오프로고-회색조_edited.png
​초이스뮤온오프 주식회사

Copyright ⓒ Choi's MU:onoff All Right Reserved.

​주소

(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2길 12-14, 4층

대표번호

(tel) 02-6338-3005   (fax) 0504-161-5373

​사업자등록번호

340-87-02697

대표이사

최화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