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

2025년 10월 22일

바이낸스, 한국 진출 본격화...업비트·빗썸 양강 구도 흔들까

2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신임 대표로 박한민 내정자를 내세워 제출한 고팍스의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했다. 신고 수리에 따라 고팍스 지분 67%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낸스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바이낸스는 세계 1위 가상자산 거래소로 압도적인 글로벌 유동성을 갖고 있다. 이제 원화마켓 거래소인 고팍스를 인수한만큼 국내 거래소에서 압도적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업비트, 빗썸 양강 체제에 균열을 낼 메기가 될지 주목받고 있다.

22일 코인마켓캡 기준 업비트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64.3%, 빗썸은 31.8%에 달한다.

반면 고팍스의 시장 점유율은 0.1%에 달한다. 일일 거래량은 업비트가 고팍스보다 599배, 빗썸은 296배 더 많은 상황이다. 시장 격차가 이토록 큰 상황에선 바이낸스라도 좁히기 쉽지 않다는 말이 나온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바이낸스가 세계 굴지의 가상자산 거래소가 풍부한 유동성과 이용자 덕분인데 국내에서는 특정금융정보법 때문에 오더북(호가창) 공유가 쉽지 않다"며 "또한 바이낸스의 매출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선물이나 파생상품 거래도 국내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팍스가 바이낸스의 수혜를 입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바이낸스 인수로 고팍스가 업비트와 빗썸과 어깨를 겨룰만한 거래소로 성장할 거란 시각도 있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바이낸스에서 다양하게 거래 지원하는 가상자산은 곧 고팍스에서도 상장할 것이므로 그로 인한 윈윈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낸스의 유동성이 고팍스에도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라며 "탈중앙화 거래소에서는 오더북 공유도 가능하기 때문에 고팍스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낸스, 한국 진출 본격화...업비트·빗썸 양강 구도 흔들까

2025년 10월 14일

'두나무·네이버' 합병, 날개 단 정부의 디지털 금융정책

두나무와 네이버가 전격 합병을 발표한 이후 디지털 금융과 가상자산 산업에 지각변동이 예고되는 가운데,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금융 정책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 진출과 블록체인 기반 결제 사업 확대를 노린 전략이라는 평가와 더불어 금융당국의 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대승적 판단이란 해석도 나온다.

지난달 24일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증권플러스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지분 양도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골자로 하는 합병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합병으로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가 됐고, 증권플러스 비상장 부문도 네이버파이낸셜에 통합됐다.

양사 합병으로 국내 디지털 금융 정책 추진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합병 이후 기술 융합과 막대한 투자 여력은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와 차세대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 등 국가가 추진하는 AI와 가상자산 정책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고 분석되는 가운데, 양사 주도 하에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금융 생태계 발전에 속도를 붙이는 계기가 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두나무와 네이버의 합병이 규제 장벽을 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란 해석이 우세하다. 두나무가 업비트 운영 외에 금융업과의 직접적 연계나 확장에 지속적으로 제약을 받음에 따라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금융당국의 규제를 우회하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그간 금융당국은 ‘금융과 가상자산의 분리’(금가분리) 원칙을 내세워 금융 회사의 가상자산업계 진출과 경영 참여를 엄격히 제한했다.

최화인 에반젤리스트는 “금산분리가 유명무실해지는 시점이 이미 왔다”며 “거래소 단독 확장에는 한계가 있지만 네이버파이낸셜과 결합하면 네트워크 효과와 전통 금융 확장성이 크고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정산 편의성과 유동성 측면에서 두나무에도 긍정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결제 시장의 본격적인 통합 확장이 기대됨에 따라 합병을 통한 시너지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나무는 업비트의 거래 노하우와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는 국내 대표 플랫폼으로서 연간 80조원에 달하는 네이버페이 결제 인프라를 공유하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디지털 자산을 실물 자산과 연계해 실시간 결제를 구현하고 이 과정을 네이버의 인증체계와 연계하면 AML·KYC 절차도 자동화 및 간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네이버는 플랫폼을 넘어 금융 인프라 제공자로, 두나무는 금융 서비스 플랫폼으로 각각 진화할 수 있게 됐다. 또 네이버의 AI 기술과 결합해 개인화된 자산 관리 서비스, 투자 포트폴리오 추천 등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나무·네이버' 합병, 날개 단 정부의 디지털 금융정책

2025년 9월 29일

네이버 한 식구된 업비트… 신사업 시너지 기대감 '솔솔'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와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인 두나무의 결합으로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이 둘의 결합은 간편결제, 가상자산 거래를 아우르는 초대형 디지털 금융 플랫폼의 탄생일뿐만 아니라 장기적 사업 성장 동력 확보라는 점에서 그 시너지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가늠하기 어렵다.

30일 IT와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두나무가 네이버 핀테크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이 포괄적 주식 교환을 논의하는 중이다. 이 거래가 성사되면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구조로, 두나무가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되는 셈이다.

시장에선 두나무 기업가치를 15조원, 네이버파이낸셜을 5조원 정도로 보고 있다. 이에 두 기업이 합병하면 두나무 주주는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주식 3주를 받게 된다. 이를 통해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 주주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 2대 주주는 네이버, 3대 주주는 김형년 부회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빅딜은 국내 최대 IT 플랫폼인 네이버와 1위 가상자산거래소를 보유한 두나무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두나무와 네이버의 결합은 ‘글로벌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할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두 기업의 합병은 두나무로선 단순한 가상자산 거래소가 아닌 기술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무엇보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두 기업의 시너지 창출이 주목된다. 네이버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두나무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업비트에서 유통, 이를 네이버페이 결제망에서 결제하는 식의 시나리오가 예상된다.

가상자산 전문가인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두나무는 네이버를 통해 그들의 네트효과를 바로 누릴 수 있다”며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걸림돌은 사용자 확보인데, 네이버는 안정적인 사용자가 이미 확보돼 있어 두나무가 이 시장을 미리 확보하고 들어가는 것과 다름없다”고 평가했다.

네이버 한 식구된 업비트… 신사업 시너지 기대감 '솔솔'

2025년 9월 26일

두나무 주가 하루새 완전 회복…나스닥보다 '네이버 시너지'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의 주가가 하루 만에 급반등했다. 지난 25일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두나무 일부 주주들이 나스닥 상장 기대감을 낮게 보는 등의 요인으로 매도세가 발생했는데, 그런 단기적 이슈보다 장기적인 비전을 긍정적으로 보는 주주들이 매물을 거둬갔다는 분석이다.

26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두나무는 이날 오후 2시 44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12.01% 오른 34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25일 10.72%의 낙폭이 있었지만 이날 큰 폭반등하면서 24일(34만5000원) 수준을 하루 만에 되찾았다. 2023년 11월 7만3000원대였던 것보다 약 5배 오른 수치인데도 차익 실현세에 대응하는 반발 매수세가 강하다는 평가다.

이번 M&A의 특징은 큰 회사가 작은 회사의 경영권을 넘겨받는 흡수라기보다, 양 회사가 대등한 지위를 유지하는 식의 합병에 가깝게 보인다는 점이다. 국내에선 생소한 대등합병(Merger of Equals, MOE) 개념도 연상된다. 네이버는 블록체인 사업에서 한 차례 실패를 맛본 바 있다. 계열사 라인이 발행한 디지털자산 '핀시아'는 레이어1 플랫폼인데도 확장성 부족이 지적되면서 결국 카카오에 뿌리를 둔 '클레이튼'과 합병해 네이버·카카오로부터 독립했다.

법정화폐와 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한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네이버 블록체인사업의 흑역사를 씻어줄 수 있다. 미국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도 디지털자산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통화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나섰다. 여당뿐 아니라 정부에서도 하정우 AI수석, 한성숙·최휘영 장관 등 네이버 출신이 굵직한 자리에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생긴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거래소가 단독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하거나 기존 금융시장으로 들어오기에는 한계가 너무 명확해 기존의 빅테크 기업들과 협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두나무로서는 최고의 파트너를 잡은 것"이라며 "두 회사의 M&A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근간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금융 시장 확장을 전제하고 시작됐다고 보여진다"고 밝혔다.

이번 네이버와 두나무 이슈에 앞서 최 대표는 거래소와 빅테크 간 M&A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최 대표는 "카이아와 같은 네트워크를 버리고 대중성과 유통성을 갖춘 이더리움 등 저렴한 네트워크를 쓸 수 있고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데이터를 먼저 수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며 "글로벌에서 3군이었던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이번 M&A로 굉장히 큰 영향을 받으며 퀀텀 점프가 가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두나무 주가 하루새 완전 회복…나스닥보다 '네이버 시너지'

2025년 9월 14일

가상자산업계, M&A 봇물…‘시너지 내고, 신사업 찾고’

가상자산 업계에서 신사업 활로를 개척하기 위한 인수합병(M&A)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나무가 자회사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네이버페이에 매각했고, 코스닥 상장사 앱튼과 헥토이노베이션은 각각 코인마켓 거래소 빗크몬과 가상자산 지갑 개발사 월렛원(헥슬란트)를 인수했다.

지난 11일 네이버페이 운영사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의 자회사 증권플러스 비상장 지분 70%를 686억 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앱튼은 지난 4일 코인마켓 거래소 빗크몬 운영사 골든퓨쳐스 지분 69.1%를 51억 원에 인수했다. 신사업 추진을 통한 신성장 동력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앱튼은 골든퓨쳐스의 구주식 취득 및 유상증자 참여를 통한 신주식 취득으로 최대주주가 되어 골든퓨쳐스 경영권을 취득했다.

IT 서비스 업체 헥토이노베이션은 지난 3일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사 월렛원(구 헥슬란트) 지분 47.15%를 92억 원에 취득했다. 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 보유 기업이면서 월렛원이 보유한 가상자산 블록체인 지갑 기술을 통해 신성장 동력 확보 및 유관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정부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 등 가상자산 사업에 친화적이기 때문에 이를 새로운 먹거리로 보고 뛰어드려는 기업이 늘어나 앞으로 M&A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상자산업계, M&A 봇물…‘시너지 내고, 신사업 찾고’
초이스뮤온오프로고-회색조_edited.png
​초이스뮤온오프 주식회사

Copyright ⓒ Choi's MU:onoff All Right Reserved.

​주소

(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2길 12-14, 4층

대표번호

(tel) 02-6338-3005   (fax) 0504-161-5373

​사업자등록번호

340-87-02697

대표이사

최화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