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빛하늘 기자
2025년 6월 27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원화(KRW)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뜨겁다. 최근 여당이 관련 법안을 발의하고 제도 정비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수혜주로 떠오른 간편결제 자회사를 둔 네이버·카카오는 연일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가 대표적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수혜 기업으로 떠올랐다. 조태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시대의 첫 번째 승자는 선불 충전 잔액이 많은 플랫폼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유는 ‘선불 충전금’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선불 충전금은 간편결제 서비스에 사용하려고 소비자들이 미리 충전해 놓은 돈이다. 간편결제 사업자는 이 자금을 1대1로 연동시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결국 선불 충전금이 많을수록 발행 여력도 커지는 구조인 셈이다.
반면 가상자산업계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급부상으로 국내 가장자산 거래소 경쟁력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며 우려한다.
가상자산업계 한 관계자는 “원화는 달러 대비 통화로서 가치가 떨어진다. 이 때문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되더라도 투자자들은 달러로 바꿔 해외에서 거래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즉 “자본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최화인 블록체인 에반젤리스트 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도 우려하는 입장이다. 최 대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달러로 바꿔 해외에서 거래하는 등 시장 수요가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이 생기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전체적인 매출 실적, 매매 대금으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입이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