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

2025년 8월 20일

국회의원 76% 가족이 가상자산 보유...성실 신고자 '투기꾼' 낙인 우려

국회의원 가족의 디지털자산(가상자산) 보유 비율이 의원 본인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신고,형식적 신고도 적지 않아 제도적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디지털자산 분석업체 뮤캅스는 20일 지난 3월 27일 기준 공직윤리시스템에 공개된 제22대 국회의원 298명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18.12%인 54명이 디지털자산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뮤캅스는 "소수점 단위로 1개 미만을 신고하거나 아예 가액을 0원으로 표기한 사례가 15건 있었다"고 지적했다. 신고 규정상 소수점 8자리까지 기재하게 돼 있어 실효성 없이 형식적인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의원은 신고 직전 보유 자산을 전량 매도하거나 거래소 계정을 탈퇴해 보유 흔적을 없애 실제 보유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현행 규정은 성실 신고자를 오히려 '투기꾼'으로 몰 수 있는 구조"라며 "거래 내역 중심의 보고 체계 도입과 '더스트'(미세잔량) 제외, 해외 거래소 및 콜드월렛 자산에 대한 국제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의원 76% 가족이 가상자산 보유...성실 신고자 '투기꾼' 낙인 우려

2025년 8월 20일

가벼운 줄 알았던 국회의원 '코인 지갑'…알고보니 '대반전'

2023년 ‘공직자윤리법’ 개정으로 국회의원은 디지털자산을 의무 신고하게 됐다. 디지털자산 분석기관 뮤캅스가 2025년 3월 기준 22대 국회의원 298명의 재산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의원의 18.12%인 54명이 보유 사실을 신고했다

이는 국민 평균 디지털자산 이용률(18.76%)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의원 본인이 직접 보유한 경우는 11명(3.69%)에 불과했고, 나머지 대부분은 자녀 세대 중심의 직계가족 보유(79.63%)였다.

의원들이 신고한 종목은 총 126종이었다. 이 중 국내 원화거래소 상장 71종, 상장폐지 31종, 미상장 21종 등 다양했다

특히 글로벌 유통이 없는 이른바 ‘김치코인’이나, 거래가 불가능한 에어드랍 코인(ETHW, DIS, VTHO 등)을 그대로 신고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는 실질적 투자보다는 “팔 수 없어 남아 있는 잔량”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보유 순위는 △에이피이앤에프티(NFT) 19명 △비트코인(BTC) 17명 △리플(XRP) 17명 순이었다.

다만 1위를 차지한 에이피이앤에프티는 현재 거래가 0.0006원(25년 8월 18일 기준)에 불과해 사실상 자산 가치가 없다.

흥미로운 사례로는 국민의힘 박수민 의원이 훈민정음해례본 NFT(1억 원 상당)를 신고했지만, 시장 침체로 실질 가치 여부는 불확실하다.

가벼운 줄 알았던 국회의원 '코인 지갑'…알고보니 '대반전'

2025년 8월 20일

국회의원 18% 코인 보유…"대부분 가족 명의·소액 투자"

국회의원 5명 중 1명이 디지털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인이 직접 투자한 경우는 소수에 그쳤고, 상당수는 자녀 명의나 거래 불가능한 잔량이었다.

20일 초이스뮤온오프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298명 가운데 54명이 디지털자산을 신고해 보유 비율은 18.12%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 평균 보유율(18.76%)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이 중 의원 본인이 직접 보유했다고 신고한 경우는 11명(3.69%)에 불과했으며 신고된 자산의 약 80%는 자녀 등 직계가족 명의였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28명, 국민의힘 23명, 조국혁신당 2명, 개혁신당 1명으로 특정 정당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했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현행의 형식적 신고 의무는 성실 신고자를 오히려 ‘투기꾼’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성실 신고의 역설을 낳을 수 있다”며 “잔량이나 더스트 코인은 제외하고, 매매 내역 중심으로 보고 체계를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해외 거래소 및 콜드월렛 자산 검증을 위한 국제 협력 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의원 18% 코인 보유…"대부분 가족 명의·소액 투자"

2025년 8월 11일

전략자산으로 주목받는 이더리움···상승랠리 지속하나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큰 알트코인(비트코인 이외 가상자산)의 대표격인 이더리움이 연일 상승세를 기록하며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대비 가격 경쟁력 재평가, 코인 신뢰성 강화 노력, 기관과 기업의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 창출 전략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이더리움의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이 최근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체계를 다룬 지니어스법을 제정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해 이더리움 생태계에 대한 가치가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시총 2위 스테이블코인 유에스디코인(USDC)을 비롯해 상당수 스테이블코인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하며 가장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중 하나로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여기에 이더리움 보유 가치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면서 기업과 기관의 비축자산으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미국이 지니어스법안 등이 마련하면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과 시장 확충이 되는 상황에서 이더리움이 하나의 전략적인 기반으로 주목 받고 있다”며 “스테이블 코인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되고,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 출시 확대, 기업과 기관들의 비축자산으로 비트코인 외 이더리움 수요 증가가 가격 상승에 견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략자산으로 주목받는 이더리움···상승랠리 지속하나

2025년 8월 1일

상장효과 사라진 코인시장…거래소만 웃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였던 올해 2분기 정작 신규 상장 코인의 성적표는 초라했다.

비트코인(BTC)이 18.3%, 이더리움(ETH)이 24.1% 오르며 전체 시장 시가총액이 3930조원에서 4560조원으로 약 16% 증가했지만 이 기간 신규 상장된 101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27.8%에 그쳤다. 상장가 대비 수익을 낸 종목은 101건 중 고작 12건에 불과했다.

1일 디지털자산 데이터분석 서비스 기업 초이스뮤온오프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신규 상장한 가상자산들의 수익률은 1분기(-30%)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른바 ‘상장빔’이라 불리는 상장 직후 급등 흐름은 대부분 일회성에 그쳤고 가격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구조적 동력이 부재하다 보니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장 호재에도 불구하고 상장 직후 가격이 하락하거나 보합세에 머무는 현상이 일반화되면서 고수익을 기대하고 상장에 몰리는 투자행태는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초이스뮤온오프는 “이제는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이 아닌 ‘하이 리스크-로우 리턴(high risk, low return)’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는 “2분기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상장 효과는 투자자에게 돌아가기보다는 거래소의 시장 점유율 확보와 전략적 입지 강화에 집중된 모습”이라며 “상장 자체가 곧 수익으로 이어지던 시대는 지나갔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제 투자자들은 거래소의 상장 정책과 시장 환경, 개별 자산의 내재 가치를 면밀히 따져보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며 “단기 차익에 의존한 투자보다는 철저한 분석과 신중한 선택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상장효과 사라진 코인시장…거래소만 웃었다
초이스뮤온오프로고-회색조_edited.png
​초이스뮤온오프 주식회사

Copyright ⓒ Choi's MU:onoff All Right Reserved.

​주소

(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2길 12-14, 4층

대표번호

(tel) 02-6338-3005   (fax) 0504-161-5373

​사업자등록번호

340-87-02697

대표이사

최화인

bottom of page